a name="google-site-verification" content="lVksAFdphcnK4OIHaGo7dj2f8C8lXLN47e2m7EPIHT4" /> 4. 저녁에 - 김광섭 :: 낮게 나는 새 https://kk1983.tistory.com

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4. 저녁에 - 김광섭
    시(詩), 노래가 되다 2023. 4. 5. 17:52

     

     

    김광섭의 시  <저녁에>는

    유심초의 노래 <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>에 녹아있다.

     

    노래 : 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xWa1djr3yQ

    ---------------

     

               저녁에 

     
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김광섭(金珖燮) 

     

    저렇게 많은 중에서 

   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. 

   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 

   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

     

    밤이 깊을수록 

    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

    나는 어둠 속에 사라진다

     

    이렇게 정다운 

    너 하나 나 하나는 

    어디서 무엇이 되어 

    다시 만나랴

     

    ---------------

     

    길지 않은 시에 대조되는 것이 많다.

    저렇게/이렇게, 별/사람, 내려다/쳐다, 밝음 속/어둠 속, 너/나.

     

    저렇게 많은 별들 중의 별 하나와

   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 나 하나가

    딱하고 눈이 마주쳤다.

     

    그렇게 어렵게 만났건만

    하나는 밝음 속으로

    다른 하나는 어둠 속으로 소멸...

     

    소멸되는 두 존재이지만

    '어디서 무엇이 되어 / 다시 만나랴'

    로 마무리함으로써 재회를 기대한다...

     

    불가의 윤회가 생각나는 마무리다.

     

    ---------------

     

    노래에서는 시의 많은 부분을 가져다 쓰면서

    시의 일부를 바꾸기도 하고

    가사를 덧붙이기도 했다.

    그리고 제목을 새로 정했다.

     

     

    ---------------

     

       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

     
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노래 : 유심초

     

    저렇게 많은 별들 중에

    별 하나가 나를 내려 본다

    이렇게 많은 사람 중에

   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

     

    밤이 깊을수록 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

    나는 어둠 속으로 사라진다.

    이렇게 정다운 너 하나 나 하나는

  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

    너를 생각하면 문득 떠오르는 꽃 한 송이

    나는 꽃잎에 숨어서 기다리리

    이렇게 정다운 너 하나 나 하나는

    나비와 꽃송이 되어 다시 만나자

     

    밤이 깊을수록 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

    나는 어둠 속으로 사라진다.

    이렇게 정다운 너 하나 나 하나는

  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

    너를 생각하면 문득 떠오르는 꽃 한 송이

    나는 꽃잎에 숨어서 기다리리

    이렇게 정다운 너 하나 나 하나는

    나비와 꽃송이 되어 다시 만나자

     
    ---------------

     

    시의 마지막 구절과 관련되는 작품들이 있다.

     

    그림.

     

    수화(樹話) 김환기(1913~1974) 화백의 1970년작 <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>가 있다.

    김광섭은 미국 뉴욕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던 친구 김환기에게 연하장을 보내면서

    시 <저녁에>가 실린 잡지를 보냈고

    그 시를 본 김환기가 그린 그림이 <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>다.

     

     

    연극.

     

    최인훈의 희곡 중에 <온달>이라는 작품이 있는데

    이를 무대에 올리면서 제목을 <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>로 바꾸어 공연했다.

    김환기의 그림과 달리 연극 제목에서는 '다시'라는 단어가 없다.

     

    반응형

    '시(詩), 노래가 되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6. 술 한잔 - 정호승  (0) 2023.04.05
    5. 하늘 - 박두진  (0) 2023.04.05
    3. 개여울 - 김소월  (0) 2023.04.05
    2. 우울한 샹송 - 이수익  (0) 2023.04.05
    1. 산 너머 남촌에는 - 김동환  (0) 2023.04.04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